반응형
2025년 ESG ETF 비교: ESGU, SUSA, KODEX ESG Leaders 등 수익률 중심 추천
ESG ETF 선택 기준과 평가 항목
ESG ETF를 고를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ESG 점수 기반의 구성 기준, 둘째, 운용보수(Expense Ratio), 셋째, 장기 수익률과 추적 오차입니다. ESG 점수는 MSCI, S&P Global 등 평가기관마다 기준이 달라, ETF의 추종 지수(Methodology)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ETF의 ESG 수준은 이름만으로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성 방식(스코어 필터형, 배제형, 베스트인클래스 등)과 리밸런싱 주기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국내외 추천 ESG ETF TOP 5
- ESGU (iShares MSCI USA ESG Select) – 미국 대형주 중심의 ESG Leaders 인덱스 추종, 자산규모 300억 달러 이상
- SUSA (iShares MSCI USA ESG Aware) – MSCI USA ESG 점수 기반, 섹터 중립형 구성
- DSI (iShares MSCI KLD 400 Social Index) – 베스트인클래스 방식, 기술주 중심
- KODEX ESG Leaders – KRX ESG Leaders 지수 기반, 국내 대형주 중심, 배당주 비중 높음
- TIGER MSCI KOREA ESG Universal – MSCI 방식 기반, 저비용(운용보수 0.12%), 국내 ESG 대표 상품
주요 ETF 비교: 수익률, 보수, 구성 종목
ETF | 최근 3년 수익률(연평균) | 운용보수 | 대표 보유 종목 |
---|---|---|---|
ESGU | 9.5% | 0.15% | MSFT, AAPL, GOOG |
SUSA | 9.0% | 0.10% | AAPL, NVDA, AMZN |
DSI | 10.2% | 0.25% | TSLA, META, AAPL |
KODEX ESG Leaders | 6.8% | 0.25%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
TIGER ESG Universal | 7.1% | 0.12% | 삼성전자, NAVER, 현대차 |
ETF별 투자 전략 및 포트폴리오 팁
글로벌 ESG ETF는 장기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개인 투자자의 연금저축, IRP, ISA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ESGU와 SUSA는 S&P500 구성과 유사하면서도 리스크 요인을 선제적으로 제거해 중장기 안정성이 뛰어난 편입니다.
국내 ETF는 변동성이 크지만 운용보수가 낮고 배당 수익률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연금계좌 투자에 적합합니다. 구성 종목과 ESG 평가기관의 차이를 고려하여 분산투자를 권장합니다.
ESG ETF는 이제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포트폴리오 안정성을 높이는 전략적 도구입니다. 시장 상황과 리스크를 반영해 구성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ESG 투자란 무엇인가 – 지속가능 금융의 개념과 SRI의 흐름
👉 ESG 평가지표와 점수화 체계: MSCI, Sustainalytics, FTSE 비교 분석
반응형
'투자 기본 알아보기 > 패시브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인덱스 구성 방식 완전 해부 – 스코어형 vs 베스트인클래스 vs 배제형 (0) | 2025.05.20 |
---|---|
MSCI vs Sustainalytics vs FTSE: ESG 점수 비교 분석 (0) | 2025.05.20 |
ESG 투자의 본질과 SRI의 진화: 지속가능 금융의 철학 (0) | 2025.05.19 |
동일가중 전략의 약점 극복법과 대안 투자전략 정리 (0) | 2025.05.19 |
Equal Weight 전략의 한계와 대안: 동적 가중 모델로의 진화 (0) | 2025.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