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기본 알아보기/액티브 투자

2025년 GARP 투자 이론 총정리 – 성장성과 저평가 사이 균형 찾기

by richyyy 2025. 5. 27.
반응형

 

GARP 전략의 이론적 기초 – 성장성과 밸류의 균형은 가능한가?

목차

 

GARP 전략이란? 가치와 성장의 융합 이론

GARP(Growth At a Reasonable Price) 전략은 말 그대로 “합리적인 가격에 성장주를 산다”는 접근입니다. 이는 순수 가치주 투자(저PBR, 저PER)나 고성장 추종 투자(고PER, 고PBR)와 달리, 일정 수준의 성장성과 함께 밸류에이션도 고려하는 균형 전략입니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가치 투자, 필립 피셔의 성장 투자에 비해 GARP는 피터 린치(Peter Lynch)를 통해 실전적으로 정립되었다고 평가받습니다. 린치는 GARP 전략을 통해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장기간 유지한 대표 사례로 꼽힙니다.

 

GARP의 핵심: PEG Ratio의 의미

GARP 전략은 핵심 지표로 PEG(Price/Earnings to Growth) 비율을 사용합니다. 이는 PER(주가수익비율)을 EPS 성장률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고성장주로 간주됩니다.

PEG = PER ÷ EPS 성장률 (단, 성장률은 % 단위로 변환 후 사용)

예를 들어, PER이 20이고 향후 EPS 성장률이 연 20%라면 PEG는 1입니다. 일반적으로 PEG가 1 이하이면 합리적인 밸류로 평가됩니다.

반응형

성장주 vs 가치주, 그리고 GARP의 중도적 접근

가치주는 현재 낮은 평가를 받는 기업을 매수하고, 성장주는 미래 기대를 반영한 기업에 투자합니다. 그러나 시장은 종종 고성장주에 과도한 프리미엄을 부여하거나, 가치주에 할인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합니다.

GARP는 이 중도적 입장에서 PER이 과도하게 높지 않고, 성장률이 일정 수준 이상인 종목을 선호합니다. 따라서 극단적인 거품이나 함정(Value Trap)을 피하면서 알파를 추구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대표 펀드 매니저 사례와 이론적 배경

GARP 전략을 대표하는 인물은 피터 린치입니다. 그는 마젤란 펀드를 운용하면서 13년간 연평균 29%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린치의 핵심 철학은 “성장 가능성이 있으면서도 너무 비싸지 않은 종목”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학문적으로는 Eugene Fama와 Kenneth French의 팩터 모델에서 가치와 성장 팩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다중요인 접근법과 GARP는 철학적으로 유사합니다. Fama-French 3팩터 모델 이후 확장된 5팩터 모델에서도 이익의 질(Quality)과 저평가 여부(Value)가 장기성과를 설명하는 핵심 요인으로 제시됩니다.

따라서 GARP는 단순한 실전 전략이 아닌, 이론적 배경을 갖춘 융합형 투자 전략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PEG 활용법과 GARP 종목 실제 발굴법에 대해서는 [GARP 투자란? PEG로 찾는 저평가 성장주 공략법]에서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다음 글 보기

▶ 실적 서프라이즈 종목 찾는 법

반응형

댓글